🔍 OderBook - 호가창
오더북은 주식 시장이나 암호화폐 시장 등의 특정 시장에 존재하는 구매자와 판매자의 모든 매도 및 매수 주문을 기록한 전자 목록이다. 주문서, 주문 기록 장부라고도 한다 트레이더는 다양한 가격으로 매수매도 주문을 넣을 수 있으며, 이는 실시간으로 오더북에 표시된다.
한 명 이상의 투자자가 동일한 가격에 주문을 넣으면 오더북은 제시된 총 코인량을 표시하며 시간순으로 주문을 처리한다.
오더북에 모인 데이터를 시장 규모(market depth)라 불리는 차트를 만들며 가격을 상승하거나 하락시키는데 필요한 주문량과 공급 및 수요를 그래픽으로 보여준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gbuCK/btr6BhhWAyt/I4NivNKz7JJASCuGrQZgE1/img.png)
- 매수호가: 사려는 사람들이 체결을 기다리는 주문 가격들
매도 잔량 , 매수 잔량 : 해당 가격으로 거래를 체결하고 싶어하는 주식의 수량
🔍 주식 호가 보는 방법
🔍 OderBook - 호가창으로 알 수 있는 것들
- 대량 주문 가격대의 ( 매수, 매도 막대바가 큰 것 )지지와 저항이 중요한 것은, 이 가격대가 뚫리면 단기적으로 큰 폭의 하락이나 상승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예의 주시 해야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WXrvT/btr6tVfDrCH/96hUA1Khmm652HyK8A7jGK/img.png)
- 체결강도: 해당 종목이 현재 매수세가 강한지 매도세가 강한지를 단편적으로 보여주는 수치
-
- 체결강도 = 매수체결량 / 매도체결량 * 100
- 100보다 크다: 적극적으로 사는 주문 체결량이 많다 ( 주가 상승 Or 장중반등)
- 100보다 작다: 적극적으로 파는 주문 체결량이 많다 ( 주가 하락 Or 장중 반락)
- 체결강도 = 매수체결량 / 매도체결량 * 100
- 매수 매도 잔량 보다 실시간 체결 물량이 많은 것이 훨씬 중요하다.
- 급등 직전 종목들은 매수 총잔량이 적다.
- 상승 유력주 = 매도 총잔량 > 매수 총잔량
- (급등 할 것 같은 좋은 종목들의 경우 지금 당장 빨리 사고싶어하기 때문)
- 일반적으로 단타치기 좋은 호가라 표현 할 때,매도 체결량 < 매수 체결량
- 매도 총 잔량 > 매수 총잔량
🧐 OderBook - 거래원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K7ou/btr6GWDtMK8/BhOrDoyBm7V9AIddApzoCK/img.png)
- 주식 매매를 할 수 있는 증권사들을 ‘거래원’이라 부름
- 거래원 : 증권거래소에 등록을 하고, 그 증권거래소가 개설한 유가증권 시장에서 상시로 유가증권의 매매 거래에 종사할 수 있는 증권업자를 의미
- 거래원 메뉴에서 확인 되는 정보는 당일에 매수와 매도를 실시간 거래원들의 동향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exO2tY/btr6DXXayy8/bDfBKp9F48xWvN1M68P6cK/img.png)
- 1. 매수 상위 / 매도 상위
- 매수, 매도 각각 상위 5개의 증권사가 표시됨.
- 이때, 상위란 당일 거래량을 기준으로 상위 5개사를 말함.
- 2. 거래량
- 주식을 사고 판 주식의 수량
- 3. 증감
- 기존 매수 / 매도량 대비 1~3분 사이에 변동 된 물량을 의미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rOvrQ/btr6Cfw2CRK/zWuqHU10ZKPl5ZHPMqRd2K/img.png)
- 4. 상위 매도 합 / 상위 매수 합
- 상위 5개 증권사의 매수량과 매도량을 보여줌. (≠ 금일 거래된 총 거래량)
- 5. 외국계합
- 국내에서 거래를 하는 외국계 증권사 (cs증권, 메릴린치, 모건 스탠리 ...)
- 당일에 거래된 모든 외국계의 매수와 매도량을 각각 더해서 합계를 표시한 내용으로 외국계 증궈낫의 거래량을 손쉽게 알아볼 수 있는 데이터.
🔍 트레이딩 - 주문 집행 전략
[트레이딩] 주문 매칭 알고리즘
참고 : https://sohwak.tistory.com/entry/understanding-order-matching-algorithm-01
강화학습을 이용한 주문 집행 전략 ( AI optimized order Execution with Reinforcement Learning)
참고 : https://minsuksung-ai.tistory.com/10
중앙 거래소 호가 매칭 알고리즘 설계
참고 : https://bkim.tistory.com/18
🧐 주문 순서와 FEP
주식 시장 매매 체결 원칙 (https://2ndtop.tistory.com/entry/주식매매체결원칙)
가격 -> 시간 -> 수량 순서로 우선순위가 결정
가격부터 보시면 당연히 더 저렴한 가격에 파는 사람이나 더 높은가격에 사는 사람이 최우선권을 가짐.
동일한 호가 내에서는 먼저 주문낸 사람이 먼저 체결됨.
동일 가격-동일 시간에 나온 주문은 수량이 더 많은 사람이 우선순위를 가짐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59uES/btr6ANuBXWk/lOzsrHuzcBKq4kval9dvYk/img.png)
https://sexyon.tistory.com/81\\
FEP
Front End Processor
- 원래는 메인프레임에서 통신 과부하를 경감시키기 위해 전처리 작업을 하는 과정을 말한다.
- 금융권에서는 의미가 조금 와전되어 B2B 연계를 FEP라고 부른다.
- 전용선 또는 VPN을 이용하 연결된 기관 간, 정해진 인터페이스로 배치파일(SAM)을 전달한다.
출처:
https://raisonde.tistory.com/entry/금융권에서-사용되는-시스템-간-연계-용어
🧐 마켓메이커(Market Maker)란 무엇인가
- 마켓메이커는 브로커-딜러들을 nasdaq orderbook내에서 경쟁을 시켜서 nasdaq에서 거래되는 주식 종목에 유동성을 공급
- → 특정 주식의 시장을 만들수 있느 기능을 하는 특별한 유형의 브로커
- 주식을 구매하기 위해 입찰자에게 판매를 할 수 있돋록 또는 재고를 제공하는 판매자로부터 주식을 구매하여 자신의 인벤토리에 추가 할 목적으로 자신의 인벤토리에 일정 수량의 주식을 보유한다.
- 마켓 메이커는 판매 수수료를 받지 않지만 대신 입찰 가격과 요청 가격의 차이로 이익을 얻음
- nasdaq 마켓메이커는 이런 nasdaq오더북에 오더를 올릴 수 있느 특권을 얻는 대신 마켓을 메이킹해야하는 의무가 있음
- 나스닥 시장은 300 개 이상의 마켓 메이커로 구성
🧐 관련 용어 정리
- 트레이더(trader): 금융 시장에서 주식이나 채권, 상품, 파생 상품, 뮤추얼펀드, 헤지펀드 등을 매매 시 자신만의 포지션을 가지고 거래하거나 시세를 예측하면서 고객간의 거래를 중개하는 사람을 말한다.
- 가격 수준(Price level) : 시장가 주문(market price)을 의미한다. 매수가가 해당 가격 수준에 도달하면 동일한 가격의 매도 주문이 체결되어 매매가 이뤄질 수 있다.
- 크로스북(Crossed book) : 오더북에 존재하는 주문을 만족하는 매수 주문이 들어오면 매수 가격이 최저가보다 같거나 높다면 해당 주문은 즉시 이행되며 오더북에서 주문을 가져간다. 이 상황이 계속되어 오더북에 물량이 없어진다면 시장이 특정 상황으로 인해 교차(crossed) 되었다고 한다.
- 오더북의 상단(Top of the book) : 가장 높은 매수가와 가장 낮은 매도가를 오더북의 상단이라고 한다. 최고 매수 가격과 최저 매도 가격 차이를 호가 스프레드라고 한다.
- 오더북 규모(Book depth) : 상품에 대한 가격이나 정보, 제안뿐만 아니라 다른 거래 품목의 매수매도 제안도 선형 도표로 표현한 것을 말한다.
- 멀티-스페셜리스트 북(Multi-specialist book) : 오더북의 주문 안에는 상품에 대한 가격과 정보, 투자자의 제안 등이 포함되어 있다. 멀티-스페셜리스트 북은 벨기에의 수학 경제학자인 장 프랑수아 머텐이 도입한 도표로 투자 전문가 사이에서 작동하는 주문 메커니즘을 구축하여 단순히 상품에 대한 가격이나 정보, 제안뿐만 아니라 다른 거래 품목의 매수매도 제안도 선형 도표로 표현한 것을 말한다.\
- MarketDepth : (https://creativestudio.kr/2248)
- 매수/매도의 호가 누적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차트화 한 기능
- market depth 영역 선택을 통해 가격 / 누적량(누적수량) / 누적액(누적총액)을 확인할 수 있다.
- 전체적인 매수/매도의 물량을 볼 수 있기 떄문에 매수/매도 타이밍을 잡는데 쓴다.
- 파란색 면적보다 빨간색 면적이 넓으면 매수세가 높아서 그래프가 올라감
- 빨간색 면적보다 파란색 면적이 넓으면 매도세가 높아서 그래프가 내려감
- 허매수/허매도라면 마켓 뎁스가 크게 의미 있지 않음
- (ex. 매수벽(사려고하는 사람) 보다 매도벽(팔려고 하는 사람)이 깊기 떄문에 하락세일 확률이 높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bcUv/btr6AN9bn9p/qK12nwsSxkUmLPG7zk2OL1/img.png)
'financial enginee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채권이란!!!!!!!!!!!!! (0) | 2023.03.29 |
---|---|
[수익률]단순 수익률 & log수익률 (0) | 2023.03.29 |
vwap과 pair trading이 기계학습과 만나면? (0) | 2023.03.29 |
[Algorithms]TWAP, VWAP (0) | 2023.03.29 |
Optimal Execution (0) | 2023.03.29 |